18808번: 스티커 붙이기
혜윤이는 최근에 다양한 대회를 참여하면서 노트북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들을 많이 받았다. 스티커는 아래와 같이 사각 모눈종이 위에 인쇄되어 있으며, 스티커의 각 칸은 상하좌우로 모두 연
www.acmicpc.net
문제
혜윤이는 최근에 다양한 대회를 참여하면서 노트북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들을 많이 받았다. 스티커는 아래와 같이 사각 모눈종이 위에 인쇄되어 있으며, 스티커의 각 칸은 상하좌우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눈종이의 크기는 스티커의 크기에 꼭 맞아서, 상하좌우에 스티커가 포함되지 않는 불필요한 행이나 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아래는 올바른 모눈종이의 예시이다. 주황색 칸은 스티커가 붙은 칸을, 하얀색 칸은 스티커가 붙지 않은 칸을 나타낸다.

반면 아래는 올바르지 않은 모눈종이의 예시이다. 첫 번째는 윗쪽에 불필요한 행이 있고, 두 번째는 왼쪽에 불필요한 열이 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스티커의 각 칸이 상하좌우로 모두 연결되어 있지 않다.

혜윤이는 자신의 노트북에 이 스티커들을 붙이기로 했다. 혜윤이의 노트북은 마침 직사각형 모양이고, 스티커가 인쇄된 모눈종이와 같은 간격으로 격자가 그려져 있다. 혜윤이는 스티커들을 먼저 받았던 것부터 차례대로 격자에 맞춰서 붙이려고 한다.
혜윤이가 스티커를 붙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스티커를 회전시키지 않고 모눈종이에서 떼어낸다.
- 다른 스티커와 겹치거나 노트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위치를 찾는다. 혜윤이는 노트북의 위쪽부터 스티커를 채워 나가려고 해서,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위치가 여러 곳 있다면 가장 위쪽의 위치를 선택한다. 가장 위쪽에 해당하는 위치도 여러 곳이 있다면 그중에서 가장 왼쪽의 위치를 선택한다.
- 선택한 위치에 스티커를 붙인다. 만약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위치가 전혀 없어서 스티커를 붙이지 못했다면, 스티커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뒤 2번 과정을 반복한다.
- 위의 과정을 네 번 반복해서 스티커를 0도, 90도, 180도, 270도 회전시켜 봤음에도 스티커를 붙이지 못했다면 해당 스티커를 붙이지 않고 버린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 스티커를 붙이는 과정을 이해해보자. 노트북은 세로 5칸, 가로 4칸 크기이고, 혜윤이가 가지고 있는 스티커들은 아래와 같다.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스티커를 붙일 것이다.

1. 첫 번째 스티커는 회전 없이 온전히 붙일 수 있는 공간이 아래와 같이 6곳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위쪽의 위치, 가능한 가장 위쪽의 위치가 여러 개이면 그 중에서 가장 왼쪽의 위치는 첫 번째이다. 스티커를 붙인 후 노트북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2. 두 번째 스티커는 회전 없이 온전히 붙일 수 있는 공간이 없다. 그러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후에는 붙일 수 있는 공간이 1개 생긴다. 해당 공간에 스티커를 붙인 후 노트북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3. 세 번째 스티커는 스티커를 시계방향으로 0, 90, 180, 270도 회전시킨 모양에 대해 전부 확인을 해도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공간이 없다. 그러므로 해당 스티커를 붙이지 않고 버린다.
4. 네 번째 스티커는 스티커를 시계방향으로 0, 90, 180도 회전 시킨 모양에 대해 온전히 붙일 수 있는 공간이 없다. 그러나 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한 후에는 공간이 1개 생긴다. 스티커를 붙인 후 노트북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최종적으로 노트북의 18칸이 스티커로 채워졌다.

혜윤이는 스티커를 다 붙인 후의 노트북의 모습이 궁금해졌다. 노트북의 크기와 스티커들이 주어졌을 때 스티커들을 차례대로 붙이고 난 후 노트북에서 몇 개의 칸이 채워졌는지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노트북의 세로와 가로 길이를 나타내는 N(1 ≤ N ≤ 40)과 M(1 ≤ M ≤ 40), 그리고 스티커의 개수 K(1 ≤ K ≤ 100)이 한 칸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는 K개의 스티커들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 각 스티커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주어진다.
먼저 i번째 스티커가 인쇄된 모눈종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Ri(1 ≤ Ri ≤ 10)와 Ci(1 ≤ Ci ≤ 10)가 한 칸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다음 Ri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모눈종이의 각 행을 나타내는 Ci개의 정수가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칸에 들어가는 값은 0, 1이다. 0은 스티커가 붙지 않은 칸을, 1은 스티커가 붙은 칸을 의미한다.
문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스티커는 모두 올바른 모눈종이에 인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커의 각 칸은 상하좌우로 모두 연결되어 있고, 모눈종이의 크기는 스티커의 크기에 꼭 맞아서 상하좌우에 스티커에 전혀 포함되지 않는 불필요한 행이나 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스티커들을 차례대로 붙였을 때 노트북에서 스티커가 붙은 칸의 수를 출력한다.
과정
- 입력받은 스티커를 노트북에 붙일 수 있는지 확인한다.
- 노트북 모든 공간을 체크해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지 확인한다.
- 스티커를 붙일 수 있다면 스티커가 붙는 노트북의 위치에 '1'을 기록한다.
- 붙일 공간이 없다면 90도 돌려서 다시 확인해본다.
- 360도 모두 확인해봤는데도 붙일 공간이 없다면 해당 스티커는 버린다.
- 모든 스티커를 확인해 본 뒤 스티커가 붙어있는 공간의 넓이를 구한다.
예제 입력
5 4 4
3 3
1 0 1
1 1 1
1 0 1
2 5
1 1 1 1 1
0 0 0 1 0
2 3
1 1 1
1 0 1
3 3
1 0 0
1 1 1
1 0 0
예제 출력
18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find(x, y, sticker, r, c):
for i in range(x, x+r):
for j in range(y, y+c):
if graph[i][j] and sticker[i-x][j-y]:
return False
for i in range(x, x+r):
for j in range(y, y+c):
if sticker[i-x][j-y]:
graph[i][j] = 1
return True
def put(sticker, r, c):
for i in range(n-r+1):
for j in range(m-c+1):
if find(i, j, sticker, r, c):
return True
return False
def rotate(sticker):
r, c = len(sticker), len(sticker[0])
tmp = [[0] * r for _ in range(c)]
for i in range(r):
for j in range(c):
tmp[j][r-i-1] = sticker[i][j]
return tmp
n, m, k = map(int, input().split())
graph = [[0] * m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k):
r, c = map(int, input().split())
sticker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r)]
for _ in range(4):
if put(sticker, r, c):
break
else:
sticker = rotate(sticker)
r, c = c, r
result = 0
for i in range(n):
result += sum(graph[i])
print(result)
한 줄씩 해석해보기
def find(x, y, sticker, r, c):
for i in range(x, x+r):
for j in range(y, y+c):
if graph[i][j] and sticker[i-x][j-y]:
return False
for i in range(x, x+r):
for j in range(y, y+c):
if sticker[i-x][j-y]:
graph[i][j] = 1
return True
- 스티커를 붙일 노트북의 위치를 탐색하는 함수
- 좌표 와 스티커 행,렬을 입력받는다.
- 좌표 x부터 x+r, y부터 y+c 까지 확인한다.
- 해당 좌표의 그래프 값이 있고 스티커 값이 있다면 False를 반환한다.
- 스티커에 값이 있다면 그래프의 값을 1로 바꾸어준다.
def put(sticker, r, c):
for i in range(n-r+1):
for j in range(m-c+1):
if find(i, j, sticker, r, c):
return True
return False
-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이다.
- 행렬을 입력받고 위치를 파악하여 find함수를 돌려서 값이 있다면 True 없다면 False를 반환한다.
def rotate(sticker):
r, c = len(sticker), len(sticker[0])
tmp = [[0] * r for _ in range(c)]
for i in range(r):
for j in range(c):
tmp[j][r-i-1] = sticker[i][j]
return tmp
- 스티커의 방향을 돌린다.
- 스티커의 길이만큼 행렬을 입력받고 0으로 이루어진 tmp리스트를 만들어준다.
- 스티커의 좌표를 90도씩 바꾸어주며 tmp에 저장해 return한다
n, m, k = map(int, input().split())
graph = [[0] * m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k):
r, c = map(int, input().split())
sticker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r)]
for _ in range(4):
if put(sticker, r, c):
break
else:
sticker = rotate(sticker)
r, c = c, r
- 값을 입력받고 graph를 만들어준다.
- 행렬과 스티커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 스티커를 360도 회전하면서 확인하고 붙일 수 있다면 break 아니라면 스티커를 돌린다.
result = 0
for i in range(n):
result += sum(graph[i])
print(result)
- 그래프의 값을 더해서 result에 넣어준 후 출력
'코딩 테스트 (Python)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814번 나이순 정렬 (Python) (0) | 2024.01.17 |
---|---|
[백준] 2751번 수 정렬하기 2 (Python) (0) | 2024.01.17 |
[백준] 1414번 불우이웃돕기 (Python) (0) | 2024.01.16 |
[백준] 10026번 적록색약 (Python) (0) | 2024.01.16 |
[백준] 7562번 나이트의 이동 (Python)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