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 정렬이란?
퀵 정렬은 불안정 정렬 에 속하며, 다른 원소와의 비교만으로 정렬을 수행하는 비교 정렬 에 속한다.
-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하나로,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수행 속도를 자랑하는 정렬 방법
- 합병 정렬(merge sort)과 달리 퀵 정렬은 리스트를 비균등하게 분할한다.
-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법
- 문제를 작은 2개의 문제로 분리하고 각각을 해결한 다음, 결과를 모아서 원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이다.
- 분할 정복 방법은 대개 순환 호출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 하나의 리스트를 피벗(pivot)을 기준으로 두 개의 비균등한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리스트를 정렬한 다음, 두 개의 정렬된 부분 리스트를 합하여 전체가 정렬된 리스트가 되게 하는 방법이다.
- 퀵 정렬은 다음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 분할(Divide): 입력 배열을 피벗을 기준으로 비균등하게 2개의 부분 배열(피벗을 중심으로 왼쪽: 피벗보다 작은 요소들, 오른쪽: 피벗보다 큰 요소들)로 분할한다.
- 정복(Conquer): 부분 배열을 정렬한다. 부분 배열의 크기가 충분히 작지 않으면 순환 호출 을 이용하여 다시 분할 정복 방법을 적용한다.
- 결합(Combine): 정렬된 부분 배열들을 하나의 배열에 합병한다.
- 순환 호출이 한번 진행될 때마다 최소한 하나의 원소(피벗)는 최종적으로 위치가 정해지므로, 이 알고리즘은 반드시 끝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특징
- 장점
- 속도가 빠르다.
- 시간 복잡도가 O(nlog₂n)를 가지는 다른 정렬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빠르다.
- 추가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퀵 정렬은 O(log n)만큼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 단점
- 정렬된 리스트에 대해서는 퀵 정렬의 불균형 분할에 의해 오히려 수행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 퀵 정렬의 불균형 분할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벗을 선택할 때 더욱 리스트를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선택한다.
- EX) 리스트 내의 몇 개의 데이터 중에서 크기순으로 중간 값(medium)을 피벗으로 선택한다.
시간복잡도
- 최선의 경우
- 비교 횟수
- 순환 호출의 깊이
- 레코드의 개수 n이 2의 거듭제곱이라고 가정(n=2^k)했을 때, n=2^3의 경우, 2^3 -> 2^2 -> 2^1 -> 2^0 순으로 줄어들어 순환 호출의 깊이가 3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일반화하면 n=2^k의 경우, k(k=log₂n)임을 알 수 있다.
- k=log₂n
- 각 순환 호출 단계의 비교 연산
- 각 순환 호출에서는 전체 리스트의 대부분의 레코드를 비교해야 하므로 평균 n번 정도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 평균 n번
- 순환 호출의 깊이 * 각 순환 호출 단계의 비교 연산 = nlog₂n
- 이동 횟수
- 비교 횟수보다 적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
- 최선의 경우 T(n) = O(nlog₂n) - 최악의 경우
- 리스트가 계속 불균형하게 나누어지는 경우 (특히, 이미 정렬된 리스트에 대하여 퀵 정렬을 실행하는 경우)
- 비교 횟수
- 순환 호출의 깊이
- 레코드의 개수 n이 2의 거듭제곱이라고 가정(n=2^k)했을 때, 순환 호출의 깊이는 n임을 알 수 있다.
- n
- 각 순환 호출 단계의 비교 연산
- 각 순환 호출에서는 전체 리스트의 대부분의 레코드를 비교해야 하므로 평균 n번 정도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 평균 n번
- 순환 호출의 깊이 * 각 순환 호출 단계의 비교 연산 = n^2
- 이동 횟수
- 비교 횟수보다 적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
- 최악의 경우 T(n) = O(n^2) - 평균
- 평균 T(n) = O(nlog₂n)
- 시간 복잡도가 O(nlog₂n)를 가지는 다른 정렬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빠르다.
- 퀵 정렬이 불필요한 데이터의 이동을 줄이고 먼 거리의 데이터를 교환할 뿐만 아니라, 한 번 결정된 피벗들이 추후 연산에서 제외되는 특성 때문이다.
구현 (Python)
def quicksort(lst, start, end):
def partition(part, ps, pe):
pivot = part[pe]
i = ps - 1
for j in range(ps, pe):
if part[j] <= pivot:
i += 1
part[i], part[j] = part[j], part[i]
part[i + 1], part[pe] = part[pe], part[i + 1]
return i + 1
if start >= end:
return None
p = partition(lst, start, end)
quicksort(lst, start, p - 1)
quicksort(lst, p + 1, end)
return lst
'코딩 테스트 (Python)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법] 병합 정렬(merge sort) 개념 및 구현(Python) (0) | 2024.01.17 |
---|---|
[문법] 셸 정렬(shell sort) 개념 및 구현(Python) (0) | 2024.01.17 |
[문법] 삽입 정렬(insertion sort) 개념 및 구현(Python) (0) | 2024.01.17 |
[문법] 선택 정렬(selection sort) 개념 및 구현(Python) (1) | 2024.01.17 |
[문법] 버블 정렬(Bubblesort) 개념 및 구현(Python)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