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의 차이
"Spring Framework는 자바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여기에는 의존성 주입,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등을 포함해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당량의 초기 설정 작업이 필요합니다.
반면, Spring Boot는 Spring Framework를 기반으로 하면서, 개발자가 빠르게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착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설정보다 관례'를 모토로, Spring Boot는 많은 기본 설정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며, 내장 서버를 포함해 바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합니다. 즉, Spring Boot는 Spring Framework의 강력함을 유지하면서도 개발 과정을 훨씬 간단하고 빠르게 만들어 줍니다.
요약하자면, Spring Framework는 애플리케이션의 근간을 이루는 튼튼한 기반을 제공하는 반면, Spring Boot는 이러한 기반 위에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방법론과 도구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Spring Boot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복잡한 설정 없이도 Spring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꼬리 질문 > Spring Boot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Spring Boot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Starters'입니다. 이는 특정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사전에 구성된 의존성 모음입니다. 예를 들어, spring-boot-starter-web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꼬리 질문 > Spring Boot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Spring Boot를 사용할 때의 한계점 중 하나는 자동 구성이 기본값에 많이 의존한다는 점입니다. 때로는 이러한 자동 구성이 프로젝트의 특정 요구사항과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조정하려면 추가적인 설정이나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Spring Web MVC의 Dispatcher Servlet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Spring Web MVC 프레임워크에서 Dispatcher Servlet은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을 구현한 것입니다. 모든 클라이언트 요청은 이 Dispatcher Servlet을 통과하며, 이것이 Spring MVC의 핵심입니다. Dispatcher Servlet의 주요 역할은 들어오는 요청을 적절한 컨트롤러에 전달하고, 컨트롤러가 반환한 결과를 바탕으로 뷰를 렌더링하는 것입니다.
동작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웹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Dispatcher Servlet은 Spring의 설정 파일들을 로드하여, 어떤 URL이 어떤 컨트롤러로 매핑되는지를 결정합니다.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Dispatcher Servlet은 이 매핑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할 컨트롤러를 찾습니다.
찾은 컨트롤러가 요청을 처리한 후, 결과 데이터와 함께 뷰 이름을 Dispatcher Servlet에 반환합니다. Dispatcher Servlet은 이 뷰 이름을 바탕으로, 실제 뷰를 찾고, 모델 데이터를 뷰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최종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Dispatcher Servlet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컨트롤러 선택, 뷰 해석, 예외 처리 등 여러 작업을 중앙에서 조정합니다.
간단히 말해, Dispatcher Servlet은 Spring MVC 애플리케이션에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첫 번째로 받아서 적절한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응답을 사용자에게 반환하기 전에 필요한 여러 가지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중앙 집중식의 요청 처리기 역할을 합니다."
꼬리 질문 > Dispatcher Servlet 외에 Spring MVC의 다른 구성 요소는 무엇이 있나요?
"Spring MVC에는 Dispatcher Servlet 외에도 여러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ntroll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ViewResolver는 컨트롤러가 반환한 뷰 이름을 바탕으로 실제 뷰를 찾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ModelAndView는 모델 데이터와 뷰 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컨테이너 역할을 합니다."
꼬리 질문 > Dispatcher Servlet이 컨트롤러를 찾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Dispatcher Servlet이 요청에 해당하는 컨트롤러를 찾지 못하면, 일반적으로 404 Not Found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Spring MVC는 이러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정의 예외 처리기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Spring Bean Life Cycle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Spring Bean의 생명주기는 크게 초기화, 사용, 그리고 소멸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Spring 컨테이너가 시작되면, 먼저 Bean 정의를 바탕으로 Bean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이때, Bean의 의존성이 주입되는데, 이는 Spring의 의존성 주입(DI) 기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Bean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의존성이 주입된 후, 초기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Spring에서는 사용자가 커스텀 초기화 로직을 정의할 수 있도록 InitializingBean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XML 설정 파일 또는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을 통해 초기화 메서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초기화 단계에서는 리소스를 할당하거나, 특정 설정을 적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Bean이 사용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이 실행되는 동안입니다. 이 단계에서 Bean은 주입된 의존성과 함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Spring 컨테이너가 닫힐 때, Bean의 소멸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 단계에서도 사용자는 DisposableBean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PreDestro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커스텀 소멸 로직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소멸 과정에서는 열려 있는 리소스를 해제하거나, 필요한 정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요약하자면, Spring Bean의 생명주기는 Spring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며, 생성과 의존성 주입, 초기화, 사용,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정확한 동작을 지원합니다. 개발자는 이 생명주기의 각 단계에서 특정 작업을 커스터마이징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더욱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꼬리 질문 > @PostConstruct와 @PreDestroy 어노테이션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은 Bean이 생성되고 의존성 주입이 완료된 후에 실행해야 하는 초기화 로직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PreDestroy 어노테이션은 Bean이 소멸되기 직전에 정리 작업이나 자원 해제 로직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꼬리 질문 > 의존성 주입이 일어나는 생명주기 단계는 언제인가요?
"의존성 주입은 Spring Bean의 생명주기에서 Bean 인스턴스가 생성된 직후에 일어납니다. 즉, Bean이 완전히 생성되고 나서 초기화 메서드(@PostConstruct가 지정한 메서드)가 실행되기 전에 의존성 주입이 수행됩니다."
'면접 (Java) > 기술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기술 면접 - Entity (0) | 2024.03.15 |
---|---|
[면접] 기술 면접 - RDBMS vs NoSQL (0) | 2024.03.15 |
[면접] 기술 면접 -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0) | 2024.03.13 |
[면접] 기술 면접 -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0) | 2024.03.13 |
[면접] 기술 면접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0) | 2024.03.12 |